Surprise Me!

[더뉴스 앵커리포트] '조용한 살인범' 일산화탄소, 우리 집은 안전한가? / YTN

2018-12-20 2 Dailymotion

일산화탄소 누출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지만 우리 주변에는 위험이 생각보다 가까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벽난로도 그중 하나입니다. <br /> <br />날이 춥고 습기가 많은 날 사용빈도가 높아지지만 벽난로의 위험성은 그런 날씨에 더 높아진다는 벽난로의 역설을 아시는 분은 많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기온이 크게 떨어져 한파가 불어닥치면 기압이 낮아져 난로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연통을 통해 내리누르게 됩니다. <br /> <br />그렇게 되면 불완전 연소로 발생한 일산화탄소가 연통을 타고 역류해서 연통 이음새나 나무 투입구를 통해 누출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 <br /> <br />구름이 끼고 습기가 찬 날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대부분의 거실이나 안방에 설치돼 있기 때문에 잠잘 때 불을 피워두면 위험은 배가됩니다. <br /> <br />벽난로는 얼마나 보급돼 있을까, 참고가 될만한 단독주택 거래량을 살펴봤습니다. <br /> <br />2010년부터 전원주택의 수요가 급격히 높아집니다. <br /> <br />2012년 10만 5천여건에서 5년만에 6만 건 가까이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시기 벽난로 업계 1위 업체의 매출은 연평균 15%씩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'조용한 살인범' 일산화탄소의 누출 위험은 생각보다 우리 일상 생활에 깊숙이 슬며들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벽난로뿐만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가스보일러, 가스레인지, 온수기, 가스 건조기, 냉장고 등 일산화탄소는 집안 곳곳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산화탄소 누출로 인한 사상자는 매년 꾸준히 발생합니다. <br /> <br />행정안전부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가스보일러 사고로 인한 사상자는 모두 49명. <br /> <br />그중 1명을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일산화탄소 중독이 원인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일산화탄소에 노출됐을 때 제대로 배출시키는 작업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오랜 기간 체내에 쌓이게 돼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산화탄소의 가장 큰 특징은 뇌와 근육을 마비시킨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초기엔 두통, 메스꺼움, 무기력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심해지면 호흡곤란, 혼수, 발작 등이 올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예방이 중요하겠죠. <br /> <br />간단한 생활수칙만으로도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평소 집 안의 가스기기에 대한 점검은 필수입니다. <br /> <br />불완전 연소가스가 새지 않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환기도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이외에도 전문가들은 일산화탄소 감지 경보기를 설치할 것을 권고합니다. <br /> <br />[배상훈 / 前 서울경찰청 범죄심리분석관 : 일산화탄소에 대한 것은 규정 자체가 없습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122014210340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